작은공원은 다가구주택과 근린생활시설 프로젝트로 반포동의 다세대 및 근린생활시설 밀집지역에 위치한다. 서울의 급속한 도시화 과정에서 자연은 종종 우선 순위에서 밀려 소외되어 왔고, 특히 다양한 욕망이 한데 뒤섞인 근린생활 밀집지역은 자연 소외현상이 가장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 지역은 최소 법적 조경면적조차 적용되지 않는 규모로 건물들 간에 법적 최소 간격만 유지하며 도시조직을 형성하고 있다.
이 동네를 거닐며 유심히 관찰해보면, 건축가 혹은 공공의 손길이 닫지 않는 척박한 곳에서도 골목골목 마다 건물 사이의 틈새 구석에서 녹색의 생명이 피어나고 있다. 지극히 자연발생적인 녹화와 거주자들의 녹색에 대한 욕망이 만들어낸 자연발생적 패턴의 조경이 그 나름의 질서를 가지며 척박한 환경의 틈새에서 피어나고 있다.
작은공원 프로젝트는 골목에서 자생적으로 생겨나는 자연발생적 녹화에 대한 관찰을 바탕으로 건물의 주변부와 공용 공간에 휴식과 자연을 위한 틈새를 제공한다. 기존의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며 근린생활 밀집지역의 거주환경에 대한 고민과 함께 근린생활시설에서도 소박하게나마 일상에서 최대한 자연을 접하도록 대안을 담았다.
8미터 도로변에서 꺾이며 들어가는 주진입 골목을 면한 입면은 건물의 새로운 얼굴로 역할을 한다. 붉은 고벽돌과 청고벽돌 및 리빙브릭(Living Brick)으로 구성된 주진입면은 8미터 도로를 향해 살짝 사선을 그리며 만들어낸 깊이와 틈새로 식생의 공간을 만들어 낸다. 표면의 깊이와 골목에 면한 식생 공간들은 사유화된 영역의 입면이자 조경이면서 동시에 골목에 생기를 불어넣는 공공의 환경으로 환원된다.
주진입 골목은 원룸 사이의 틈새에 생긴 외부에 열린 계단을 통해 건물 안으로 수직적으로 이어진다. 이 계단실은 이동만이 아닌 원룸이라는 척박한 여건의 사람들에게 작은 공원이 된다. 계단과 계단참의 폭을 조정해 만들어낸 틈새공간에는 식생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사람들이 휴식할 수 있는 공용공간이 만들어진다. 건축가 없이 조성한 자연발생적 식생 패턴을 바탕으로 제안한 이 접근법은 척박한 여건의 계단에서 가능한 대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어둡고 접근이 불편했던 골목은 사람의 접근을 반기는 골목이 되며 보다 개선된 도시 조직의 일부가 된다.